열역학 공부_비(非)리얼 상태 방정식
① 기체 상수와 절대 온도의 정의 실험에 의해서 위 식의 b,c,d ... 등 이후 모든 계수는 물질과 온도의 함수임이 확인되었으나, a는 물질에 관계 없이, 모든 기체에 대해 오로지 온도만의 함수로 측정되었다. 그럼 이 a의 정체는 뭔가? 우선 우변에서 a만 남기 위해서는 b, c, 등등이 모두 0 이거나, P가 0의 우극한으로 접근해야한다. 그런데 전자는 별로 feasible 하지 않다. 따라서 압력 P가 0에 근접하는, 즉 매우 작은 상황에서 a는 PV와 같고 온도만의 함수가 된다.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P를 0으로 보내는 것과 같은 실험을 할 때는, 실제로 P가 0일 필요는 없다. 충분히 작지만 서로 다른 여러 P에 대해 PV의 값을 구한 뒤, 'extrapolating' ..